Cloud/AWS6 AWS 람다에서 python으로 구글 시트 데이터 쓰기 2025년 2월 기준으로 사용가능한 방법을 작성하였습니다.라이브러리 변경 등에 의해서, 실제로 사용 가능한 라이브러리나 함수는 변동될 수 있습니다. 간혹, 프로그램 수준에서 구글독을 다루기 위한 수요가 있습니다.저의 경우에는 데이터를 aws 바깥으로 빼내어서 구글 엑셀 시트에 데이터를 옮기려는 용도로 사용하였습니다. 작업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구글 API 설정 2. python 라이브러리 람다에 추가 ( python3.13 기준)3. 람다 작성 ( + 1에서 설정한 파일을 업로드)4. 권한 설정 1. 구글 API 설정 (1) 구글 계정을 준비합니다. (2) Google Cloud Console ( https://console.cloud.google.com/ ) 에 로그인합니다. (.. 2025. 2. 16. AWS에서 서버리스로 배치 기능 사용하기 (with EventBridge) - 기초편 프로그램을 개발하다보면 지속적으로 떠 있는 서비스가 아니더라도, 필요한 시점에만 실행이 되어야하는 프로그램들이 필요합니다. 일반적으로는 특정 시점에 대용량 데이터를 처리하는 경우를 뜻하기는 하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대용량 데이터가 아니더라도 특정 시점에 한 번, 또는 특정 시간 단위마다 반복해서 돌아야하는 경우들을 말하기도 하죠. AWS 에서도 이런 기능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대표적으로는 2가지 선택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1) 서버리스가 아니다 (& EC2 를 쓴다 )=> 기존에 개발하던 것과 동일하게 배치 서비스를 만든다음에 EC2 서버에 올리면 됩니다.(2) 서버리스다 (& 람다를 쓴다) => Amazon EventBridge 사용한다. 사실 복잡하게 쓸.. 2024. 7. 1. AWS 게이트웨이+람다에서 HTTPStatusCode 400을 설정해보기 순수히 테스트용 또는 단순 작업용으로만 API 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면 API의 응답 상태코드는 중요합니다. 회사나 개인, 프로젝트마다 참여하시는 분들의 취향이 달라서 서로 다른 방식을 택할 수는 있겠지만요. 일반적으로 크게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하는 것 같습니다. 1. 모든 처리를 다 정상적으로 한다는 전제하에서 기본 HTTP 응답코드를 200으로 받고, Body 안에서 실제 응답을 처리하는 방법입니다. 아래의 예시는 그 방법을 보여줍니다. HTTPStatusCode : 200 Body { "statusCode" : 200, "message" : "성공" } Body { "statusCode" : 400, "message" : "필수 데이터가 누락되었습니다." } Body { "statusCode" : .. 2023. 11. 5. dynamodb 파이썬으로 데이터 스캔하기 다이나모 DB는 아주 가볍게 서버리스 개발을 시작할 수 있는 도구이긴 하지만, 몇 가지 제약들이 존재합니다. 그 중에 가장 직관적이고 중요하게 다뤄야하는 부분은 조회시 1MB 의 용량 제한이 될 것입니다. 여기에서 기본적으로 다음의 고려사항들을 생각하면서 데이터를 처리해야합니다. - 기본적으로 한 행의 데이터가 1MB 이내여야 함 - 1MB 용량 제한은 key 기준이므로 설계 단계부터 고려되어야 함. ( KeyConditionExpression 기준으로 처리되므로 FilterExpression 기준으로 생각하면 엄청난 조회 용량의 낭비가 발생할 수 있음) - 전체 조회 시에 필연적으로 1MB 를 고려해서 조회해야함. 여기에서는 python 기반으로 간단하게 scan 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코드에서 .. 2023. 10. 28.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