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눅스

리눅스 RHEL 7.0에 도커(docker) 세팅하기

by 크라크라 2022. 9. 20.

** 전제 

 - yum이 사용 가능 (회사에서 사용할 경우에는 인프라 운영하는 팀과 협의해서 진행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 방화벽이 설정된 경우(ex. 사내망) 사내망이 아니라면 방화벽 오픈하는 부분만 제외하고 사용하시면 되겠습니다. 

 - 인터넷이 되는 경우(!!)

 - systemctl 사용 가능

 

 

일반적으로 도커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http 통신을 통해서 도커 레지스트리와 통신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물론, 큰 회사의 경우에는 사내망으로 방화벽도 적용되어 있으면서, 내부에 전사 공통으로 사용하거나 팀이 사용하는 이미지 미러링을 구축해놓으셨을겁니다. 그러나 조금 더 작은 규모이거나 도커에 익숙하지 않다면 (기본적인 사용은 매우 쉽지만, 이런 저런 설정까지 다 익숙해지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공식 도커 레지스트리를 통해서 이미지를 받아서 사용해야 할 것입니다. 

 

 이런 기준에서 RHEL 7.0 기준으로 도커를 세팅하는 방법을 공유해보려고 합니다. 

 

1. yum 이 사용가능한 상태인지 확인합니다. 이 포스팅은 yum 이 사용가능하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습니다. 

2. 방화벽이 설정된 경우에는 방화벽을 확인하고 열어주는 과정이 필수입니다. 

 

 - 도커 :  https://download.docker.com   ,  https://production.cloudflare.docker.com

 - 도커 레지스트리 :  https://registry-1.docker.io/v2/

 - 리눅스 Centos 미러 :https://mirror.centos.org

 - 누겟 : https://mcr.microsoft.com  (혹시 C#으로 도커 빌드할 일이 있다면)

 

3. root 계정으로 접속합니다. (최근에는 rootless로 도커를 설치하는 방법도 제공하고 있으나 대신 설치시에 여러 라이브러리들을 요구하기 때문에 방화벽이 막혀있는 서버에서는 따져볼 필요가 있습니다.) 이 포스트에서는 root 권한을 요구하는 도커를 설치해보겠습니다. 따라서 도커버전은 19.03.15로 설치하겠습니다. 필요에 따라서 더 최신버전이나 이전버전으로 설치하셔도 비슷한 과정을 따라할 수 있습니다.

 

4. RHEL의 경우에 특수한 타입의 OS에 대해서만 도커가 공식 지원을 합니다.  : s390x(IBM Z) 

그래서 동일한 CentOS 설치방법에 따라서 설치하도록 안내하고 있습니다. (ex. RHEL 7  <-> CentOS 7 )

 

5. 도커를 설치합니다. 

 (5-1) 레포지토리 등록

sudo yum-config-manager --add-repo https://download.docker.com/linux/centos/docker-ce.repo

(5-2) 캐시 등록

sudo yum makecache fast

(5-3) container-selinux 패키지 설치

sudo yum install -y yum install http://mirror.centos.org/centos/7/extras/x86_64/Packages/container-selinux-2.119.2-1.911c772.el7_8.noarch.rpm

 가장 최신버전은 2.119 이고, 이것이 없는 상태로 도커 설치를 진행하다보면 최소 2.74 버전이 필요하다는 안내메세지가 나옵니다. 방화벽을 뚫을 수 없는 경우에는 http://mirror.centos.org/centos/7/extras/x86_64/Packages/ 에서 최신 버전을 받아주시면 되겠습니다. 

 

(5-4) 도커 설치

sudo yum install docker-ce-19.03.15 docker-ce-cli-19.03.15 containerd.io docker-compose-plugin

 

(5-5) 도커 시작

sudo systemctl start docker

 

(5-6) 도커 시작 권한 설정 

yum을 통해서 도커를 설치하면 자동으로 docker라는 사용자 그룹이 생성되어 있게 됩니다. 여기에 root 계정 대신 사용하실 본인의 계정을 등록해주시면 됩니다. 

sudo usermod -aG docker $USER

(5-7) 부팅시 도커 자동 재시작 설정

sudo systemctl enable docker.service
sudo systemctl enable containerd.service

 

 

이렇게 쭈욱 진행을 해주면 공식 도커 이미지를 쉽게 다운받아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자주쓰는 명령어  (0) 2023.01.1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