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에서 GUI로 파일을 주고받거나 통신하는 것은 굉장히 쉽지만, 터미널로 무엇인가를 하는 것은 어려움이 많았습니다. 특히 SSH 같은 경우는 윈도우에서 공식적으로 지원하지 않았어서 개별적으로 오픈소스를 받아서 설치하고는 했습니다. 한글로 되어있지 않고, 여러 케이스마다 다양한 문제가 있어서 아무래도 접근이 쉽지 않았는데요. 최근에는 윈도우에서 공식적으로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 윈도우 10.1809 이상, 윈도우 서버 2019 이상에서는 공식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GUI 설치
기본적으로는 GUI 설치를 지원합니다.
윈도우 검색 => "선택적 기능 관리" 를 입력하게 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보실 수 있는데요.
상단의 "기능 추가" 버튼을 눌러서 OpenSSH 를 검색합니다.
선택 후 추가합니다.
윈도우 검색 => 서비스 입력해서 실제 윈도우에서 실행 중인 서비스를 찾아봅니다.
그 중에 "OpenSSH SSH Server" 가 시작유형이 수동으로 되어있고, 실행중이 아닌 것으로 나옵니다.
우클릭해서 -> 속성 -> 시작 유형을 자동으로 변경
우클릭해서 -> 시작
눌러주시면 기본적으로 22번 포트로 해당 서비스가 실행이 됩니다.
정상적으로 서비스가 실행되었는지 확인해보려면 커맨드창(window+r) 혹은 파워쉘을 엽니다.
이후에 아래 커맨드의 username 만 본인 계정으로 바꿔서 실행해주시면 인증이 아직 안되어있다고 나올텐데 yes 만 입력해주시면 됩니다.
ssh <username>@127.0.0.1
다시 한 번 위의 커맨드를 시도해서 접속이 완료된 창이 뜨면 설치가 정상적으로 완료된 것입니다.
다만, 외부 컴퓨터에서 접근을 하실 때에는 추가적으로 방화벽 확인이 필요합니다.
(2) 커맨드 설치
커맨드 설치를 위해서는 Powershell 이 필요합니다.
윈도우 파워쉘을 열어준 뒤에 아래 커맨드를 차례대로 입력하면 됩니다.
// openSSH 설치상태 확인
Get-WindowsCapability -Online |? Name -like 'OpenSSH*'
// 기능 설치하기
Add-WindowsCapability -Online -Name OpenSSH.Server~~~~0.0.1.0
// openssh 서버상태확인 (STOPPED)
Get-Service sshd
// 서비스 시작
Start-Service sshd
// 서버 시작 시마다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설정
Set-Service -Name sshd -StartupType 'Automatic'
// 현재 서비스 확인. (RUNNING)
Get-Service sshd
위 방법대로 진행하시면 OpenSSH 를 공식적인 마이크로소프트 지원하에 안전하게 설치해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타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엑셀 설치없이 컴퓨터에서 간단하게 사용하기(VSCode + Excel Viewer) (5) | 2024.09.29 |
---|---|
윈도우서버2022 OpenSSH 오프라인 설치하기 (2) | 2024.09.10 |
Notepad++ 매크로 내보내기/불러오기 위치 (0) | 2024.07.08 |
맥북 소노마 업데이트 후 잠자기 안되는 문제 해결 (1) | 2024.06.17 |
맥북 Sonoma 업데이트 후 날짜 및 시간 오류 해결 (1) | 2024.06.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