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Cache9 Redis 온라인에서 무료로 사용하기 레디스를 컴퓨터에서 설치형으로 사용하는 방법은 다른 글에서 윈도우 기준으로만 몇 번 설명을 했던 것 같습니다.다만, 레디스의 특성상 윈도우에서는 다른 툴을 사용하거나 설치방법이 생각보다 복잡해서 막상 테스트를 위해서 고작 이렇게 까지 해야하나라는 생각이 들 수 있습니다. (맥이나 리눅스에서는 훨씬 간단합니다.) 그럴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은 온라인에서 Redis를 사용하면 됩니다. (1) AWS, GCP, AZURE 등 클라우드 사업자들이 제공하는 Redis 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보통은 계정 신규가입시 - 기간제한 있음) (2) Redis Cloud 를 직접 사용하는 방법입니다.(기간제한 없으나, 미사용시 삭제) 여기에서는 2번째 방법을 소개합니다. 기본적으로 무료이지만, 약 1주일 정도 사용.. 2024. 6. 23. Redis Cluster 테스트 환경 구축하기 레디스를 단순하게 쓰시는 분도 있고, 어렵고 고성능을 위해서 사용하시는 분도 있으실겁니다. 고수들은 많지만 저 같이 배워나가는 사람들은 일단 간단하게라도 테스트 환경을 구축해보고 이것저것 실험해보는 것이 많은 도움이 됩니다. 혹시나 또 저 같은 분들을 위해서 간단하게 레디스 공홈에서 레디스 클러스터에 대한 로컬 테스트 환경 설정하는 부분을 가져와봤습니다. https://redis.io/docs/management/scaling/ Scale with Redis Cluster Horizontal scaling with Redis Cluster redis.io 마찬가지로 WSL 이 설정이 되어있어야하고요, 리눅스이신 분들은 바로 따라서 실험해보셔도 무방할 것 같습니다. 윈도우에서 진행해보시는 분들의 경우 WS.. 2024. 3. 14. Window에서 Redis 테스트 환경 구축하기 기존의 방식은 리눅스 용으로 개발되었던 버전을 윈도우용으로 포팅한 라이브러리를 설치해서 사용하는 것이었습니다. https://github.com/microsoftarchive/redis/releases Releases · microsoftarchive/redis Redis is an in-memory database that persists on disk. The data model is key-value, but many different kind of values are supported: Strings, Lists, Sets, Sorted Sets, Hashes - microsoftarchive/redis github.com 손쉽게 인스톨러를 이용해서 윈도우에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간단한 테스트만.. 2024. 3. 13. DB에서 공유폴더 파일 접근시 운영체제 오류5 종종 DB가 설치되어 있는 서버에서 다른 서버에 있는 파일을 접근해서 데이터를 적재할 경우들이 있습니다. 그 경우에 파일에 대한 접근권한을 확보해야하기 때문에, 파일이 있는 위치를 공유폴더로 지정하고 DB서버에서 파일이 있는 서버에 접속하도록 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그 경우에 아래와 같은 오류 메세지가 뜨는 케이스가 있습니다. xx파일을 읽을 수 없습니다. 운영 체제 오류 5 (액세스가 거부되었습니다.) 명백한 권한 오류인데, 실제로 해당 DB 서버에서 파일이 있는 서버를 접속해보면 파일을 읽을 수 있죠. 무엇인가 권한이 모자란데, 힌트는 실제 MSSQL Server 서비스를 확인해보면 됩니다. 설치 방법에 따라서 다를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는 MSSQLServer를 설치시에 실행하는.. 2023. 3. 24. 이전 1 2 3 다음